• 국내/외 복합소재 관련 현황
국내 복합소재 인증 현황
Chapter 2-1

국내 복합소재 인증 현황

항공기 전문검사기관에서 관리(사전 적합성 입증 및 데이터베이스 공유)
항공기 제품에 사용하는 복합재료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 현황
국내 복합소재인증 현황
 개요
항공기 전문검사기관에서 관리(사전 적합성 입증 및 데이터베이스 공유)
1) 재료에 대한 적합성 확인은 형식증명의 일부 기준 (KAS Part 23, 25, 27, 29, 33의 603(재료), 605(공작법), 613(재료의 강도특성 및 재료 설계값) 절 등) 충족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기존 형식증명을 위임받은 전문검사기관 (항공안전기술원)이 국토부의 감독 아래에 관리 및 수행

2) 항공기인증 전문검사기관의 검사업무규정으로 복합재료의 기술기준 적합성 충족 여부를 별도로 확인할 수 있는 제도 수립

3) 또한, 국가의 예산으로 개발한 복합재료 재료 공정 규격과 재료 물성치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
4) 규정, 제도 및 절차 등 체계 구축을 위한 필요조건

5) 복합재료 인증관련 검사업무규정 제정 및 국토부 승인
a. 시험평가기관(공동연구기관) 선정(전문위원회) 및 지정(기술원)
b. 복합재료인증 시범과제 편성 및 인증신청자
c. 재료 선정
d. 인증신청자를 위한 기술안내서 발행 및 관리 체계 구축
 국내 동향
1) 제1차 항공안전정책기본계획(국토교통부)
① 국토교통부에서는 제2017-934호 전략 3, 항공기 인증 및 운항안전 고도화의 추진과제 3.3 항에 항공기용 복합재료 인증 시스템 구축을 포함합니다.

② 추진과제에서는 국내 제작 항공기용 복합재료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항공선진국과 동등한 복합재료에 대한 인증기준·절차·방법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하에 미국과 동등한 합재료 인증기준, 절차 및 방법 등에 대한 방안 마련 및 인증체계 정비를 위한 과제 목표를 세웠습니다. 복합재료인증 체계를 정비하고 재료인증 데이터베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전문검사기관에서는 복합재료 인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국내 원소재 업체의 재료인증 사업을 지원중입니다.
2) 항공기용 복합소재 시범인증 및 체계구축사업(2019~2021, 국토교통부)을 통하여 복합소재 인증시스템을 구축하고 검증을 위하여 샘플 소재 2종(항공용 700급 carbon fabric, carbon UD) 을 인증신청 및 항공용 소재 인증 체계시스템을 검증 중에 있습니다. (항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을 통하여 지속적인 소재 DB 확보 및 시스템 관리가 필요합니다.)

3) 제3차 항공정책기본계획(2020~2024) 5대전략 30대 핵심과제중 전략목표 3. 「전후반 연계 종합산업 생태계조성」중 추진과제 ‘항공기 제작 및 정비산업 활성화 지속 추진’을 위한 소재인증 사업은 필수적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