드론비행시험센터
드론비행시험센터 구축
상업용 드론의 기술개발·안전검증을 위한 권역별 비행시험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, 드론의 객관적 성능 검증을 위한 드론 비행성능시험 성적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연구 개요
연구명
드론비행시험센터구축
기간
2017. 04. 27 ~ 2023. 12. 31
목표 및 내용
- 안전한 드론 비행시험 지원을 위한 전반적인 통합감시 및 안전관리 체계 구축
- 드론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드론비행시험센터 시설·장비 인프라 제공
- 드론 실제 비행모델에 대한 추력 및 환경 등이 가능한 시험실을 구축하여 비행시험전후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
드론비행시험센터 소개
비행시험센터 인프라
전국 비행시험센터 공통 인프라
비행시험센터는 상업용 드론의 연구·개발, 비행시험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로 아래와 같은 장비들이 공통적으로 구축되어 있습니다.
- 1. 운영관리시스템 : 드론비행시험센터 총괄 관리 시스템
- 2. 종합통제센터 : 이착륙장과 비행 공역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안전관련 조언을 수행할 관제탑 개념의 통제실로, 드론 추적 레이다 ·카메라, 주파수 사용현황 모니터링, 기상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설
- 3. 드론 추적 레이다 : 드론을 포함한 비행체를 탐지·모니터링하며 항적정보를 통합정보처리시스템에 전달하는 장비
- 4. 드론 추적 EO/IR 카메라 : 비행장 내의 비행체를 탐지 및 추적하며 항적 및 영상정보를 통합정보처리시스템에 전달하는 장비
- 5. 주파수 스캐너 및 분석기 : WiFi 등 기존 환경에 존재하는 무선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, UAS 신호를 구별하여 추적하기 위한 장비. 실시간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주파수스캐너 콘솔에 전시하고 해당 정보를 통합정보처리시스템에 전달한다
- 6. 1090 수신기 : 1090MHz의 비행체에 탑재된 트랜스폰더 및 ADS-B 송신기로부터 이동정보를 수신하여 통합정보처리시스템에 전달하는 탐지 장비
- 7. 기상정보 시스템 : 시정센서와 기존 기상장비로부터 기상관측자료(강수·풍속·풍향·온도·습도)를 수집하여 기상관측 콘솔에 전시하며, 통합정보처리시스템에 기상 정보를 전달하는 장비
- 8.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 : 각 비행장의 주변 지형지물 및 비행절차를 숙지하기 위한 훈련 장비
- 9. 이동형차량 시스템 :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추적카메라·1090수신기·휴대용 주파수 스캐너를 이용하여 비행장 외부 공역에서 드론을 탐지할 수 있는 이동형 간이 시스템

비행시험센터별 특화 장비
권역별 비행시험센터 마다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비행시험 특화 장비를 배치함으로 환경에 맞춘 비행시험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1. 정지추력시험기 (강원 영월) : 계절 및 온도에 따른 작동 분석, 비행 가능한 고정익형·멀티콥터형 드론을 온도(-40〜80℃)에 따른 정지추력과 기능작동 시험‧검증
- 2. 전자파내성시험기 (충북 보은) : 주파수 간섭 분석, 저주파를 비행 가능한 드론에 인가하고 정상작동(내성) 검증
- 3. 외풍조종성시험기 (경남 고성) : 풍향·풍속 조종성 시험, 2.5〜15m/s의 풍속 범위를 0.5m/s 단위로 변경하여 드론의 조종성 시험‧검증
- 4. 비행하중시험기 (경기 화성) : 드론 비행하중시험, 드론이 비행할 때 각 모터 구동축(ARM) 혹은 붐에 작용하는 구조 강성을 시험
- 5. 비행정밀도시험기 (인천 청라) : 비행정밀도시험, 3개의 카메라로 비행체를 추적하여 비행위치 정밀 추척 시험
